Meet True, Meet Success

Collaboratively. We believe in building a true partnership to help our clients make the best hiring decisions.

  • Support
  • 언론보도
  • Support

     헤드헌팅 의뢰  평판조회 의뢰  채용 정보  이력서 등록

      고객지원센터

      02 - 6414 - 1144

      help@hrclick.co.kr

    언론보도

    Human respect, Human value

    중국 반도체 전기차 분야 헤드헌팅 업체 통해 접근 연봉 수배 불러 파격조건 영입

    페이지 정보

    manager. 19-07-04 19:02

    본문

    반도체부터 원전, 전기차 배터리까지 中인력 빼가기…기술유출 우려
     
    헤드헌팅 업체 통해 개별적 접근, 연봉 수배 불러 파격조건 영입
    항공 조종사 사례 등 목적 이루면 사실상 숙청, 토사구팽 조심해야
    LG화학 오창 전기차배터리생산라인에서 연구원이 배터리 셀을 들고 있는 모습. 사진=LG화학 제공LG화학 오창 전기차배터리생산라인에서 연구원이 배터리 셀을 들고 있는 모습. 사진=LG화학 제공

    [매일일보 문수호 기자] 중국의 ‘인력 빼가기’ 시도에 국내 산업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반도체 등 핵심산업 인력 유출이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산업계에서 중국의 인력 빼가기 논란은 각 분야를 달리하며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과거 기장급 항공기 조종사들이 대거 중국으로 이탈한 사례가 있고, 반도체 임직원들이 경쟁업체로 이직한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에는 국내 배터리 업체간 소송전을 틈타 인력을 빼가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인력 빼가기는 대부분 헤드헌팅 업체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문제는 워낙 고액의 연봉을 부르다보니 국내 기업으로서는 인력 유출을 막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인력 유출이 영업비밀 유출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 기업이 입는 피해가 적지 않다.

    최근 한국형 원자력발전 기술이 해외로 유출된 경위도 한국수력원자력 출신 전문인력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형 경수로(APR-1400) 핵심기술이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에 통째로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부의 탈원전으로 인한 인력 손실이 수조원 가치의 지식재산권을 무너뜨린 것이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계도 중국의 인력 빼가기 시도에 비상이 걸렸다. 국내 업체들 간 소송전이 벌어진 틈을 타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국내 인력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각각 미국과 국내에서 소송을 걸었는데 일단 내년 ITC 판정이 나올 때까지 숨을 죽이고 있다. ITC가 조사는 2020년 6월에 예비판결, 10월에 최종판결이 날 예정이다.

    중국과 배터리 시장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해외 공장 가동 등 규모의 경제를 갖추기 위한 대대적인 확장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업체들 간 소송전이 끝나기도 전에 중국 업체들의 인력 빼가기가 이어지고 있어 인력 유출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하나 같이 파격적인 영입 조건을 내걸기 때문에 국내 핵심인력들의 마음이 흔들리고 있다. 헤드헌팅 업체에서 개인별로 접근해 파격적인 연봉을 담보하는 경우가 많아 거부하기가 힘든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중국으로의 이직이 모든 것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런. 필요한 기술과 시간을 벌게 되면 바로 내치는 게 중국 기업의 행태다. 대표적인 사례로 항공업계를 꼽을 수 있다.

    항공업계에서 수년간 공들여 키운 기장급 항공기 조종사들이 대거 중국으로 이탈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수년 뒤 중국 조종사의 경험이 쌓이자, 최근 들어 직급 하향조정이 이뤄지는 등 찬밥신세를 받고 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외국인 조종사들이 낸 몇몇 사고를 빌미로, 기장급 외국인 조종사들이 대거 부기장으로 직급이 조정됐다. 기장급 조종사들은 고임금인 만큼, 부기장으로 직급을 낮추면 임금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런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가 바로 한국인 조종사들이다. 과거 조종사의 연봉을 한국 대비 2~3배 이상 주며 5억원 수준까지 올려 데려갔지만, 중국내 자국 조종사의 수급이 안정화되면서 외국인 조종사들을 내쫓고 있다. 실제 중국의 H항공사의 경우 한국인 기장 50여명 중 30여명을 부기장으로 직급을 내렸다.

    반도체나 배터리 등 핵심산업 인력 유출 역시 영업비밀 유출로 이어지며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되면 결국 자리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수배의 연봉을 부르는 중국 업체들의 오퍼를 무시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과거 반도체 분야의 경우 많게는 5~9배의 연봉을 불렀고, 중국의 전문 배터리 업체 CATL도 최근 국내 인력들에게 기존 연봉 3배를 제시하는 등 파격적인 영업 조건을 내밀고 있다.

    국내 산업계는 소송도 불사하며 이직을 막고 있지만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패소하는 경우가 많다. 2년 전직 금지 약정을 근거로 소송을 해도, 해당 기업의 자회사 등 관계가 없는 회사로 이직을 하는 사례가 많아 모두 막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중국 업체들은 브로커를 통해 이직을 제안하며, 고액 연봉에 차량, 아파트 제공 등을 제시한다”며 “국내 업체들도 인력 지키기에 나서고 있지만, 이직하기로 마음을 먹으면 사실상 막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